6월 호법법회(6/4,수)

본문 바로가기


참여마당
금강정사 소식

6월 호법법회(6/4,수)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6-04 14:21 조회340회 댓글0건

본문

"저희들이 이 땅에 감로법을 널리펴 부처님의 정법이 영원히 머물며

겨레와 국토를 진리 광명으로 빛낼것을 굳게 서원합니다."

 

매월 첫째주 수요일은 호법법회 봉행일.. 6월4일(수) 벽암 지홍스님의 

법문으로 여법하게 봉행되었습니다. 

 

벽암지홍 큰스님의 법문 동영상보기, 금강정사 유튜브채널에서 함께하실수 있습니다. 

https://youtu.be/uB7HHehowuw

 

오늘 법회 사회는 대안성보살님께서, ppt 봉사는 보명성 보살님께서 수고해 주십니다.

점심공양 준비는 수도권구(명등 대안성 백은선)에서, 차량봉사는 청여거사님께서 수고해 주셨네요..^^  

법회의 원만봉행을 위해 수고해 주시는 모든분들께 거듭 감사와 찬탄의 박수를 올립니다. ~~~

 

1.jpg

 

2.jpg

 

3.jpg

 

4.jpg

 

5.jpg


 

원한으로 얽힌 암탉과 여인


                                                                                     벽암 지홍스님  


보살의 수행방법을 설하고 있는 『보살선계경』을 살펴보면 보살이 인욕바라밀을 수행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상세하게 설해져 있다. 경에는 “모욕을 참지 못한 것이 번뇌의 원인”이라며 “나에게 닥쳐오는 온갖 번뇌는 남의 과실 때문이 아니라 내 잘못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설하고 있다.


  “불행한 일이 생길 경우 이를 즐겁게 여기기는 힘든 일이나, 이때 참지 않는다면 이는 스스로 업을 짓는 일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만약 스스로 업을 짓는다면 다시 스스로 그 보를 받을 수밖에 없으니 몸으로 생사의 고통을 받아야만 할 것이다.”

  

  사바세계가 ‘고통의 바다’가 아니라면 우리는 삶을 ‘고(苦)’라고 규정지을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왜 나에게만’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고통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은 ‘왜 고통이 생겼는가.’보다는 ‘어떻게 고통을 없앨 것인가’를 깨우쳐 주는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셨다. 『보살선계경』에 설해져 있는 이 말씀 역시 지금 내게 닥친 고통을 도리어 발판으로 삼아 다시는 고통에 빠지지 않는 길로 나아가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야말로 ‘역전의 묘수’인 셈이다.

  

  『법구경』 21장 광연품에는 암탉이 알을 낳을 때마다 그 알을 깨뜨려 먹은 여인의 이야기가 나온다. 매번 알을 빼앗긴 암탉은 여인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암탉은 죽어서 다음 생에 고양이로 태어났고, 여인은 죽어 암탉으로 태어나 알을 낳았다. 고양이는 매번 암탉이 낳은 그 알을 깨뜨려 먹어 버렸다. 이렇게 해서 서로 원한을 품은 여인과 암탉은 무려 오백생에 걸쳐 서로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원수의 관계를 거듭하며 서로에게 더할 수 없는 고통을 안겨주었다. 그렇게 생을 거듭하다 마침내 아들을 낳은 어머니와 아이를 잡아먹는 귀신으로 또다시 마주친 이들의 모습을 보시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너희가 오늘 여래를 만나지 않았다면 너희의 원한은 더욱 깊어져 끝없이 계속되었으리라. 무릇 원한은 원한으로서는 결코 풀지 못하느니라. 원한을 풀 수 있는 것은 오직 자비와 용서의 마음뿐이니라.”

  

  오백생을 거듭한 악연과 그것으로 인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원한과 복수가 아닌 오직 상대의 악행과 나의 고통을 용서하고 참아내는 인욕행에 있었다.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이것을 깨달은 귀신과 여인은 부처님께 귀의하여 마침내 오래된 원한과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인생을 살면서 부딪치는 문제를 잘 활용해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면 살아가는데 이보다 더 현명한 길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욕바라밀은 아무런 목적 없이 그저 참기만 하는 극기가 아니며 고행과도 전혀 다르다. 나에게 닥친 모든 고통을 수행으로 삼아 더 이상 고통이 반복되지 않도록, 나아가 다른 이들이 악한 행동조차 그들에게 악업이 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보살행인 것이다.


  참고사항 : 사바세계 중생이 인내심이 없는 것은 지혜와 자비심이 없고 탐욕과 분노심이 앞서기 때문이다. 지혜와 자비심이 앞서면 탐욕과 분노한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다. 부처님과 보살은 지혜와 자비심이 항상 앞서기 때문에 탐.진.치 삼독심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욕심과 감정을 잘 다스리지 못한 결과다.)


  중생은 어떠한 일을 당해서 언제나 지혜와 자비심이 아닌 貪.嗔.癡 삼독심을 먼저 내기 때문에 문제를 객관적이고 여유가 없이 어리석게 판단을 하고 자기 의도대로 안 될 때 고통스러워하는 것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금강정사안내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 오시는 길 |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