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철스님 일요초청법회(7/13,일)
본문
7월달 "불교를 만나서 다행이야" 일요초청법회는 2째주로 시간을 옮겨
13일(일) 조계종연구소장 원철스님 법문으로 여법하게 봉행되었습니다.
오늘 법문주제는 "이율곡 그리고 불교"...원철스님 당신께서 답사공부 인연으로 알게된 율곡 선생의 삶을
법문으로 풀어주시네요. ^^
원철스님의 법문동영상은 금강정사 유튜브 채널에서 함께하실수 있습니다.
오늘의 법회소식.. 사진소식으로 함께하세요~~~
이율곡 그리고 불교
조계종연구소장 원철스님
(1)자운(紫雲)서원
1.파주 법원읍 자운산 위치 (紫雲:상서러운 구름)
2.율곡이이(栗谷李珥) 위패 영정 봉안. 1970년 복원
3.신도비(神道碑 이항복 글) 묘정비(廟庭碑 송시열 글)가 빈터를 지킴.
4.파주 율곡사업 : 율곡교육관 율곡습지공원 율곡수목원
(2)이율곡
1.성리학 기호학파 대표. 경세가. 실용주의 학문. 북학파 실학파 개화파 영향
2.1681년 문묘배향. 1689년 배향철회. 1694년 다시 배향.
3.1611문집간행. 1774(영조20)년 〖율곡전서〗 간행
(3)부모공덕
1.이원수:아들을 위해 밤나무 일천그루를 심다 (밤나무골-율곡)
2.신사임당 태교:신인선(申仁善). 태임을 본 받는다(師任)
태임(太妊)은 태교부터 정성다해 주(周)나라 성군 문왕을 낳았다.
3.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과거시험에 아홉 번 수석을 차지하다.
4.시집 장가 : 외가 강릉, 본가 파주, 처가 황해도 해주.
3대 가족묘 11기 조성.
5.퇴계 이황 : 후생가외(後生可畏)
(4)금강산 수행
1.16세 때 모친사별 3년상. 19세 금강산 출가. 20세 하산
2.생사(生死)문제 화두 타파 하산시(下山詩).
그물고기 뛰고 솔개 날아도 위 아래 하나이니(연비어약상하동 鳶飛魚躍上下同)
이것은 공(空)도 아니요 색(色)도 아니로다.(저반비색역비공 這般非色亦非空)
스스로 웃음 지으며 나 자신을 바라보니(등한일소간신세 等閑一笑看身世)
홀로 서 있는 숲 속에 해는 이미 기울었네.(독립사양만목중 獨立斜陽萬木中)
(5)원리주의 성리학계 갈등
1.최애경전 능엄경. 차돌능엄. 4자형식 글 추구
2.제자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금강산 시절 삭발여부’에 대한 대답
“이미 산에 들어가서 외양은 변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마음이 이미 불교에 빠졌다면 외양을 따져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3.〈금강산 답사기 〉저술
(6)장례행렬
선조수정실록 “발인하는 날 횃불이 하늘을 밝히며 수십리에 끊이지 않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