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섭스님의 행원여행(6/22,일)
본문
6월 넷째주 일요법회가 6월22일(일) 가섭스님의 천수경과 함께하는 행원여행
스물여섯번째 법문으로 여법하게 봉행되었습니다.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는 가섭스님의 법문을 되새겨 봅니다...
중창불사 모연문 소개도 잊지않으십니다.. ^^
가섭스님의 법문동영상 보기
오늘의 법문은 참회게(懺悔偈)
지난세월 제가지은 모든악업은 我昔所造諸惡業(아석소조제악업)
예적부터 탐진치로 말미암아서 皆由無始貪瞋痴(개유무시탐진치)
몸과 말과 생각으로 지었사오니 從身口意之所生(종신구의지소생)
제가이제 모든죄업 참회합니다 一切我今皆懺悔(일체아금개참회)
법회의 원만봉행을 위해 수고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와 찬탄의 박수를 보냅니다. _()_
법당에선 사회, 집전, ppt, 발원문 봉사자들이 법회를 장엄합니다.
도량에선 차량봉사와 주차봉사, 청소및 운력봉사 등으로 외호하구요.
오늘 공양실 봉사는 보현구에서 수고해 주셨습니다...마하반야바라밀~~~~
천수경과 함께하는 행원여행 26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中耕 가섭스님
참회게(懺悔偈)
지난세월 제가지은 모든악업은 我昔所造諸惡業(아석소조제악업)
예적부터 탐진치로 말미암아서 皆由無始貪瞋痴(개유무시탐진치)
몸과 말과 생각으로 지었사오니 從身口意之所生(종신구의지소생)
제가이제 모든죄업 참회합니다 一切我今皆懺悔(일체아금개참회)
사람의 행위를 업(業)이라 하고 이 업에 따르는 과보가 있다는 것이 업 이론의 주된 내용입니다. 지나온 세월 동안 지은바 업을 바로잡고 다시는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참회를 하는 것으로 불교에서 중요한 신행 과정의 하나입니다. 이는 부끄러움을 주고 비참한 심정을 만들기 위해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참회를 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부끄러움과 잘못됨을 뉘우쳐 다시는 그와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게 하기 위함이고, 둘째, 잘못된 행위를 함으로써 계속해서 후회와 두려움과 불안에 떨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참회할 때 갖추어야 할 5가지 조건이 있는데, 이를 참회의 5연(緣)이라 합니다. 5연이란 ① 시방의 불보살을 영접하고, ② 참회의 주문을 암송하고, ③ 자기 잘못을 고백하고, ④ 서원을 세우고, ⑤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증명을 받는 것입니다.
또 초기불교에서 참회는 ①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②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③ 합장하면서, ④ 죄명을 말하고, ⑤ 대비구의 발에 절하는 참회의 5법을 갖추어야 한다고 합니다.
참회의 참(懺)은 범어의 크샤마(kṣam, 懺摩)의 음역으로 ‘용서를 빈다’, ‘뉘우친다’, ‘인(忍)’이라는 뜻을 가진 말이며, 회(悔)는 크샤마의 의역입니다.
범어에서 오늘날까지 ‘미안하다’는 말을 크샤먀탐(kṣamyatâm:내가 범한 죄를 참고 견디어 달라)이라고 하는 것을 생각하면 그 뜻을 잘 파악할 수 있다.
『대승본생심지관경(大乘本生心地觀經)』에서는 참회의 이익을 열 가지로 나타내고 있다.
“만약 능히 법(法)답게 참회하면 번뇌가 잠시 사이에 제거된다. ① 참회는 능히 번뇌의 땔감을 태우고, ② 참회는 능히 천상(天上)에 태어나게 하며, ③ 참회는 능히 사선(四禪:항상 즐거움만 있는 四禪天에 태어남)의 낙(樂)을 얻고, ④ 참회는 마니보주(摩尼寶珠:재앙을 없애는 등 원하는 바를 이루어 주는 보배구슬)를 내리게 하며, ⑤ 참회는 능히 금강(金剛)의 수명을 늘리고, ⑥ 참회는 능히 상락궁(常樂宮)에 들게 하며, ⑦ 참회는 능히 보리(菩提)의 꽃을 피우며, ⑧ 참회는 능히 삼계(三界)의 감옥을 벗어나며, ⑨ 참회는 능히 불(佛)의 대원경지(大圓鏡智:원만하고 분명한 지혜)를 보게 하며, ⑩ 참회는 능히 보소(寶所:열반의 경지)에 이르게 한다.”
『3. 허물이 마음을 덮어서 어둡고 고통스러운 환경을 만들게도 하고, 태양과 같은 부처님의 은혜를 등지게도 한다. 그러므로 기도뿐만이 아니라 어떤 수행에서든 참회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것이 좋다.
6. 미움, 원망, 슬픔, 괴로움, 실패했다는 생각, 불안한 생각을 다 버리고 마음을 일으켜 참회해야 한다』
광덕스님 법어록 p.3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